관련소식


소상공인들의 불공정 피해를 예방하고 구제에 도움을 드리는 소상공인 피해예방센터입니다.

관련소식

소상공인들의 불공정 피해를 예방하고 구제에 

도움을 드리는 피해예방센터 입니다.

소상공인 불공정 피해, 상품·용역 구매 강요가 절반 이상 차지

소상공인피해예방센터

2022년 소상공인 불공정거래 피해 상담센터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소상공인이 겪는 불공정 피해 유형 중에서 상품·용역 구매 강요가 51.8%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회 산자중기위 이동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서 확인된 내용이다. 그 외에도 상품공급 및 영업지원 미흡·중단이 25%, 거래상 지위 남용이 16%로 나타났다.


소상공인들이 불공정행위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묻는 질문에는, 61.6%가 가맹본부 또는 임대인이 요구하는 대로 대응했다고 답했고, 39.8%는 당사자 간 합의로 해결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불공정거래 피해상담센터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비율은 0.4%로 매우 낮았으며, 피해 발생 시 도움을 줄 기관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96.4%에 달했다.


또한, 가맹점 소상공인들은 전문가 자문 필요성을 느끼는 비율이 2022년 61.2%로 소폭 증가했으며, 정보공개서와 인근 가맹점 현황 보고서를 받지 못한 가맹점도 여전히 존재했다. 로열티 지불 비율은 증가한 반면, 치킨 가맹점과 편의점의 월평균 매출은 각각 13.3%, 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주 의원은 “소상공인들이 가맹 본부의 요구에 순응하며 불공정한 피해를 감내하고 있다”며, 정부와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불공정거래를 개선하고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KFSA 소상공인 피해예방센터


소상공인피해예방협의회 | 고유번호: 416-82-92884 | E-mail: admin@righteous.co.kr

운영시간 : am 10:00 ~ pm 18:00 (점심시간 12:30 ~14:00)

*주말 및 공휴일은 채널 문의를 이용해주세요.

COPYRIGHTS (C) 2024 KOREA CONSUMER CERTIFI CATION, ALL RIGHTS RESERVED


소상공인피해예방협의회 | 고유번호: 416-82-92884 | E-mail: admin@righteous.co.kr

운영시간 : am 10:00 ~ pm 18:00 (점심시간 12:30 ~14:00) *주말 및 공휴일은 채널 문의를 이용해주세요.
COPYRIGHTS (C) 2024 KOREA FOUNDATION SUPPORT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